비트코인 거래소 영어 메뉴얼 총정리 (바이낸스/코인베이스)
![]() |
비트코인 거래소 영어 메뉴얼 총정리 (바이낸스/코인베이스) |
📋 목차
비트코인과 암호화폐 거래소를 처음 이용하시는 분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이 바로 영어 메뉴예요. 특히 바이낸스(Binance)나 코인베이스(Coinbase) 같은 글로벌 거래소는 영어가 기본이라서 처음엔 막막하게 느껴질 수 있어요. 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이 가이드를 통해 거래소 영어 메뉴를 완벽하게 정복할 수 있답니다 🚀
2024년 기준으로 전 세계 암호화폐 거래소 이용자 수가 5억 명을 넘어섰어요. 이 중에서 바이낸스는 일일 거래량 760억 달러로 세계 1위, 코인베이스는 미국 최대 거래소로 자리매김했답니다. 이런 대형 거래소들을 자유롭게 이용하려면 영어 메뉴 이해가 필수예요. 오늘은 실제 거래에 꼭 필요한 영어 표현들을 하나씩 알아볼게요!
💱 거래소 기본 메뉴 영어 해석
거래소에 처음 접속하면 Dashboard(대시보드)가 나타나요. 이건 우리가 흔히 말하는 메인 화면이에요. 여기서 Account Balance(계좌 잔액), Total Assets(총 자산), Today's P&L(오늘의 손익) 같은 중요한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답니다. Markets(마켓) 메뉴는 거래 가능한 모든 암호화폐 목록을 보여주는 곳이에요.
Spot Trading(현물 거래)은 실제 코인을 사고파는 가장 기본적인 거래 방식이에요. Futures(선물 거래)나 Margin Trading(마진 거래)은 레버리지를 활용한 고급 거래 방법이랍니다. 초보자라면 먼저 Spot Trading부터 시작하는 게 안전해요. Trade History(거래 내역)에서는 과거 거래 기록을 확인할 수 있고, Order Book(주문장)에서는 실시간 매수/매도 주문을 볼 수 있어요.
Portfolio(포트폴리오) 메뉴는 내가 보유한 모든 자산을 한 번에 관리하는 공간이에요. Asset Allocation(자산 배분)을 통해 각 코인의 비중을 확인하고, Performance(수익률)로 투자 성과를 측정할 수 있답니다. Watchlist(관심 목록)에는 자주 확인하는 코인들을 등록해두면 편리해요.
Settings(설정) 메뉴에서는 Language(언어), Time Zone(시간대), Currency Display(통화 표시) 등을 변경할 수 있어요. API Management는 자동 거래 프로그램을 연결할 때 사용하는 고급 기능이에요. Referral Program(추천 프로그램)을 통해 친구를 초대하면 수수료 할인 혜택을 받을 수도 있답니다!
🎯 거래소 메뉴 영어 단어표
영어 메뉴 | 한국어 뜻 | 설명 |
---|---|---|
Dashboard | 대시보드 | 메인 화면 |
Wallet | 지갑 | 자산 보관소 |
Exchange | 거래소 | 매매 공간 |
Orders | 주문 | 거래 주문 관리 |
Account(계정) 관련 메뉴도 중요해요. Profile(프로필)에서 개인정보를 수정하고, Security(보안)에서 2FA 설정을 할 수 있어요. Verification(인증)은 KYC 절차를 진행하는 곳이고, Limits(한도)에서는 일일 거래 한도를 확인할 수 있답니다. 나의 생각으로는 처음 시작할 때 이 네 가지 메뉴만 확실히 알아도 기본 사용엔 문제없어요!
Support(지원) 섹션도 놓치지 마세요. Help Center(도움말 센터)에는 자주 묻는 질문들이 정리되어 있고, Live Chat(실시간 채팅)으로 직접 상담도 받을 수 있어요. Submit a Ticket(티켓 제출)은 복잡한 문제를 문의할 때 사용하는 기능이랍니다. Community(커뮤니티)에서는 다른 사용자들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요.
Notifications(알림) 설정도 꼼꼼히 확인하세요. Price Alerts(가격 알림)를 설정하면 목표가에 도달했을 때 알려주고, Trade Confirmation(거래 확인)은 매매가 체결되면 즉시 알림을 보내줘요. Security Alerts(보안 알림)는 계정에 이상한 접속이 있을 때 경고해주는 중요한 기능이랍니다 🔔
Reports(리포트) 메뉴에서는 Transaction History(거래 내역), Tax Documents(세금 문서), Account Statement(계좌 명세서) 등을 다운로드할 수 있어요. 특히 세금 신고 시즌에는 이 기능이 정말 유용하답니다. Export to CSV나 PDF 옵션으로 원하는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어요.
Earn(수익) 메뉴는 거래 외에 추가 수익을 얻는 방법을 제공해요. Staking(스테이킹)으로 코인을 예치하고 이자를 받거나, Savings(저축) 상품에 가입할 수 있어요. Liquidity Pool(유동성 풀)이나 Yield Farming(이자 농사) 같은 DeFi 기능도 여기서 찾을 수 있답니다!
💰 입출금 메뉴얼 핵심 단어
Deposit(입금)과 Withdraw(출금)는 거래소 이용의 시작과 끝이에요. Deposit Address(입금 주소)는 코인을 받을 때 사용하는 고유 주소인데, 절대 틀리면 안 돼요! Network(네트워크)를 선택할 때도 주의가 필요해요. ERC-20, BEP-20, TRC-20 등 네트워크가 다르면 코인을 잃을 수 있답니다.
Withdrawal Fee(출금 수수료)는 거래소마다 달라요. Minimum Withdrawal(최소 출금액)도 확인해야 하고, Daily Limit(일일 한도)도 체크해야 해요. Processing Time(처리 시간)은 보통 10분에서 1시간 정도 걸리지만,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더 오래 걸릴 수도 있어요.
Fiat Deposit(법정화폐 입금)은 달러나 원화 같은 실제 돈을 입금하는 거예요. Bank Transfer(은행 송금), Credit Card(신용카드), Wire Transfer(전신 송금) 등의 방법이 있어요. Payment Method(결제 방법)에 따라 수수료와 처리 시간이 달라지니 잘 비교해보세요.
Pending(대기 중) 상태는 아직 처리가 안 된 거예요. Confirmed(확인됨)가 되어야 입출금이 완료된 거랍니다. Transaction ID(거래 ID)나 TxID는 블록체인에서 거래를 추적할 때 사용하는 고유 번호예요. 문제가 생기면 이 번호로 고객센터에 문의하면 돼요.
💸 입출금 상태 확인표
상태 표시 | 의미 | 대처 방법 |
---|---|---|
Pending | 처리 대기 중 | 조금 더 기다리기 |
Processing | 처리 중 | 곧 완료 예정 |
Completed | 완료 | 정상 처리됨 |
Failed | 실패 | 고객센터 문의 |
Whitelist Address(화이트리스트 주소)는 자주 사용하는 출금 주소를 미리 등록해두는 기능이에요. Address Book(주소록)이라고도 하는데, 이렇게 등록해두면 매번 긴 주소를 입력할 필요가 없어서 편리해요. Security Verification(보안 인증)으로 SMS나 이메일 코드를 입력해야 출금이 가능해요.
Memo나 Tag는 특정 코인에서 요구하는 추가 정보예요. XRP, XLM 같은 코인은 주소 외에 Destination Tag나 Memo를 꼭 입력해야 해요. 이걸 빼먹으면 코인이 사라질 수 있으니 정말 주의해야 해요! Internal Transfer(내부 이송)는 같은 거래소 내에서 계정 간 이동을 말해요.
Blockchain Confirmations(블록체인 컨펌)은 거래가 블록체인에 기록되는 과정이에요. 비트코인은 보통 3-6 컨펌, 이더리움은 12-30 컨펌이 필요해요. Network Congestion(네트워크 혼잡)이 심하면 컨펌이 늦어질 수 있어요. Gas Fee(가스비)는 이더리움 네트워크 수수료를 말하는데, 시간대에 따라 크게 달라져요.
P2P Trading(개인 간 거래)으로 법정화폐를 입출금할 수도 있어요. Buyer(구매자)와 Seller(판매자)가 직접 만나 거래하는 방식이에요. Escrow(에스크로) 서비스로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고, Release(해제) 버튼으로 거래를 완료해요. Appeal(이의제기) 기능으로 분쟁을 해결할 수도 있답니다.
Advanced Options(고급 옵션)에는 Schedule Withdrawal(예약 출금), Recurring Buy(정기 구매) 같은 기능이 있어요. Auto-Convert(자동 전환)로 입금된 코인을 원하는 코인으로 바로 바꿀 수도 있어요. Dust Conversion(더스트 전환)은 소액 잔액을 모아서 거래소 코인으로 바꿔주는 유용한 기능이랍니다 💎
📊 매수/매도 주문창 영어 이해
Buy(매수)와 Sell(매도)는 가장 기본적인 거래 용어예요. Order Type(주문 유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Market Order(시장가 주문)는 현재 가격에 바로 거래하는 거고, Limit Order(지정가 주문)는 원하는 가격을 정해서 주문하는 방식이에요. Stop-Loss(손절매)는 손실을 제한하는 중요한 기능이랍니다.
Order Book(호가창)을 보면 Bid(매수 호가)와 Ask(매도 호가)가 나와요. Spread(스프레드)는 매수가와 매도가의 차이를 말해요. Volume(거래량)은 얼마나 많은 코인이 거래되는지 보여주고, Depth Chart(깊이 차트)는 매수/매도 주문의 분포를 시각적으로 보여줘요.
Price(가격) 입력란에 원하는 가격을 넣고, Amount(수량)에 거래할 코인 개수를 입력해요. Total(총액)은 자동으로 계산돼요. Available Balance(사용 가능 잔액)를 확인하고, Fee(수수료)도 미리 체크하세요. Place Order(주문하기) 버튼을 누르면 주문이 접수돼요.
Open Orders(미체결 주문)는 아직 거래가 안 된 주문이에요. Cancel Order(주문 취소)로 언제든 취소할 수 있어요. Partially Filled(부분 체결)는 주문 수량 중 일부만 거래된 상태예요. Order History(주문 내역)에서 과거 모든 주문을 확인할 수 있답니다.
📈 주문 유형별 특징표
주문 유형 | 특징 | 사용 시기 |
---|---|---|
Market Order | 즉시 체결 | 빠른 매매 필요시 |
Limit Order | 원하는 가격 지정 | 목표가 있을 때 |
Stop-Limit | 조건부 지정가 | 리스크 관리시 |
OCO Order | 둘 중 하나 체결 | 양방향 대비시 |
Take Profit(이익 실현)은 목표 수익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매도하는 기능이에요. Trailing Stop(추적 손절)은 가격이 올라가면 손절선도 함께 올라가는 똑똑한 기능이랍니다. Time in Force(주문 유효 기간)로 GTC(취소 전까지), IOC(즉시 체결 또는 취소), FOK(전량 체결 또는 취소) 등을 선택할 수 있어요.
Maker와 Taker 수수료가 다른 거 아시나요? Maker는 호가창에 주문을 올려 유동성을 제공하는 사람이고, Taker는 이미 있는 주문을 가져가는 사람이에요. 보통 Maker 수수료가 더 저렴해요. Post Only 옵션을 선택하면 무조건 Maker로 주문이 들어가요.
Leverage(레버리지)는 빌린 돈으로 거래하는 거예요. 2x는 2배, 10x는 10배를 의미해요. Margin(마진)은 담보로 잡히는 돈이고, Liquidation Price(청산 가격)에 도달하면 강제로 포지션이 정리돼요. Cross Margin과 Isolated Margin의 차이도 알아두면 좋아요.
Position(포지션)은 현재 보유 중인 거래 상태예요. Long(롱)은 가격 상승에 베팅하는 거고, Short(숏)은 하락에 베팅하는 거예요. PnL(손익)로 실시간 수익을 확인할 수 있고, ROE(자기자본수익률)로 투자 효율을 측정해요. Funding Rate(펀딩 비율)는 선물 거래에서 중요한 개념이랍니다.
Advanced Trading(고급 거래) 기능도 있어요. Grid Trading(그리드 거래)은 일정 간격으로 자동 매매하는 봇이고, Copy Trading(카피 트레이딩)은 전문가의 거래를 따라하는 기능이에요. Strategy Trading(전략 거래)으로 복잡한 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답니다. API Trading으로 프로그램 매매도 가능해요 🤖
📈 차트와 기술분석 영어 용어
Candlestick Chart(캔들스틱 차트)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차트 유형이에요. Open(시가), High(고가), Low(저가), Close(종가)를 OHLC라고 부르기도 해요. Green Candle(초록 캔들)은 상승, Red Candle(빨간 캔들)은 하락을 나타내요. Wick(심지)는 캔들 위아래로 튀어나온 선이랍니다.
Time Frame(시간 프레임)을 1m(1분), 5m, 15m, 1h(1시간), 4h, 1d(1일), 1w(1주) 등으로 설정할 수 있어요. Zoom In/Out으로 차트를 확대/축소하고, Drawing Tools(그리기 도구)로 추세선을 그릴 수 있어요. Indicators(지표)를 추가해서 분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답니다.
Moving Average(이동평균선)는 MA로 줄여서 표시해요. SMA(단순이동평균), EMA(지수이동평균)가 대표적이에요. Golden Cross(골든크로스)는 단기 MA가 장기 MA를 위로 돌파하는 상승 신호고, Death Cross(데스크로스)는 반대로 하락 신호예요.
RSI(Relative Strength Index)는 과매수/과매도를 판단하는 지표예요. 70 이상이면 Overbought(과매수), 30 이하면 Oversold(과매도) 상태예요. MACD는 추세 전환을 포착하는 데 유용하고, Bollinger Bands(볼린저 밴드)는 변동성을 측정하는 지표랍니다.
📊 주요 차트 패턴 용어표
패턴 이름 | 의미 | 신호 |
---|---|---|
Head and Shoulders | 헤드앤숄더 | 하락 전환 |
Double Bottom | 이중 바닥 | 상승 전환 |
Triangle | 삼각형 | 돌파 대기 |
Flag Pattern | 깃발 패턴 | 추세 지속 |
Support(지지선)와 Resistance(저항선)는 매매 타이밍을 잡는 데 중요해요. Breakout(돌파)이 일어나면 큰 가격 변동이 예상돼요. Retest(재시험)는 돌파 후 다시 그 선을 확인하는 과정이에요. Trend Line(추세선)을 그려서 전체적인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답니다.
Volume Profile(거래량 프로파일)은 가격대별 거래량을 보여줘요. POC(Point of Control)는 가장 많이 거래된 가격대예요. Value Area(가치 영역)는 전체 거래량의 70%가 일어난 구간이에요. High Volume Node와 Low Volume Node를 구분해서 중요한 가격대를 찾을 수 있어요.
Fibonacci Retracement(피보나치 되돌림)는 0%, 23.6%, 38.2%, 50%, 61.8%, 100% 레벨을 사용해요. Elliott Wave(엘리엇 파동)는 시장의 심리적 사이클을 5-3 파동으로 분석해요. Divergence(다이버전스)는 가격과 지표가 반대로 움직이는 현상으로, 추세 전환 신호가 될 수 있어요.
Market Structure(시장 구조)를 이해하는 것도 중요해요. Higher High(HH)와 Higher Low(HL)가 계속되면 상승 추세, Lower High(LH)와 Lower Low(LL)가 반복되면 하락 추세예요. Change of Character(CHoCH)는 추세가 바뀌는 시점을 말해요. Break of Structure(BOS)는 구조가 깨지는 중요한 신호랍니다.
Heatmap(히트맵)으로 시장 전체를 한눈에 볼 수 있어요. Correlation(상관관계)을 분석해서 비트코인과 알트코인의 관계를 파악해요. Market Cap(시가총액), Dominance(점유율), Fear & Greed Index(공포탐욕지수) 같은 시장 지표도 참고하면 좋아요. TradingView 같은 전문 차트 플랫폼을 활용하면 더 정교한 분석이 가능해요 📉
🔐 보안 및 인증 관련 영어
Two-Factor Authentication(2FA, 이중 인증)은 계정 보안의 기본이에요. Google Authenticator나 Authy 같은 앱을 사용해서 6자리 코드를 생성해요. SMS Verification(문자 인증)보다 앱 인증이 더 안전해요. Backup Codes(백업 코드)는 꼭 안전한 곳에 보관해야 해요!
KYC(Know Your Customer)는 본인 확인 절차예요. Identity Verification(신원 확인)을 위해 ID Card(신분증), Passport(여권), Driver's License(운전면허증) 등을 제출해요. Proof of Address(주소 증명)로는 Utility Bill(공과금 고지서)이나 Bank Statement(은행 명세서)를 사용해요.
Password(비밀번호)는 Strong Password(강력한 비밀번호)로 설정해야 해요. Change Password(비밀번호 변경)를 정기적으로 하고, Password Reset(비밀번호 재설정) 방법도 미리 알아두세요. Recovery Phrase(복구 문구)나 Seed Phrase(시드 문구)는 지갑 복구에 필수적이에요.
Security Settings(보안 설정)에서 Login History(로그인 기록)를 확인할 수 있어요. Authorized Devices(인증된 기기)를 관리하고, Suspicious Activity(의심스러운 활동)가 있으면 즉시 조치해야 해요. IP Whitelist(IP 화이트리스트)로 특정 IP에서만 접속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어요.
🛡️ 보안 레벨별 설정표
보안 레벨 | 필요 설정 | 보호 수준 |
---|---|---|
Basic | 이메일 인증 | 기본 보호 |
Enhanced | 2FA 활성화 | 중간 보호 |
Advanced | 하드웨어 키 | 최고 보호 |
Maximum | 멀티시그 | 기업급 보호 |
Anti-Phishing Code(피싱 방지 코드)를 설정하면 진짜 거래소 이메일을 구분할 수 있어요. Email Notification(이메일 알림)으로 모든 활동을 추적하고, Withdrawal Whitelist(출금 화이트리스트)로 안전한 주소만 등록해두세요. Session Timeout(세션 타임아웃)을 짧게 설정하면 더 안전해요.
Account Freeze(계정 동결) 기능을 알아두면 긴급 상황에 유용해요. Emergency Withdrawal Lock(긴급 출금 잠금)으로 해킹 시 피해를 막을 수 있어요. Security Questions(보안 질문)을 설정하고, Account Recovery(계정 복구) 절차도 미리 확인해두세요.
API Key Management(API 키 관리)도 중요해요. Read Only(읽기 전용), Trading(거래), Withdrawal(출금) 권한을 구분해서 설정하세요. IP Restriction(IP 제한)을 걸어두고, Key Expiration(키 만료)도 설정하면 좋아요. API Secret은 절대 남에게 공개하면 안 돼요!
Privacy Settings(개인정보 설정)에서 Data Sharing(데이터 공유) 옵션을 확인하세요. GDPR Compliance(GDPR 준수) 관련 권리도 알아두면 좋아요. Account Deletion(계정 삭제)이나 Data Export(데이터 내보내기) 기능도 있어요. Cookie Settings(쿠키 설정)으로 추적을 제한할 수 있답니다.
Hardware Wallet(하드웨어 지갑) 연동도 가능해요. Ledger나 Trezor 같은 Cold Storage(콜드 스토리지)를 사용하면 최고 수준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어요. Multi-Signature(멀티시그) 지갑으로 여러 명이 함께 관리할 수도 있어요. Time-Locked Transactions(시간 잠금 거래)로 추가 보안층을 만들 수 있답니다 🔒
🌍 글로벌 거래소 메뉴 비교
바이낸스(Binance)는 세계 최대 거래소답게 메뉴가 정말 다양해요. Binance Earn으로 스테이킹과 디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Binance Academy에서 교육 콘텐츠도 제공해요. Launchpad에서 새로운 프로젝트 토큰을 먼저 구매할 수 있고, NFT Marketplace도 운영하고 있어요.
코인베이스(Coinbase)는 미국 상장 거래소라 규제 준수가 철저해요. Coinbase Pro는 전문 트레이더용 플랫폼이고, Coinbase Wallet은 탈중앙화 지갑이에요. Learn and Earn 프로그램으로 공부하면서 코인도 받을 수 있어요. Institutional(기관) 서비스도 제공한답니다.
크라켄(Kraken)은 보안으로 유명한 거래소예요. Kraken Pro와 Kraken Terminal로 다양한 거래 환경을 제공해요. OTC Desk(장외거래)로 대량 거래도 가능하고, Staking Rewards가 특히 좋아요. Futures Trading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어요.
FTX는 파산했지만 한때 혁신적인 기능이 많았어요. Tokenized Stocks(토큰화된 주식), Prediction Markets(예측 시장), Leveraged Tokens(레버리지 토큰) 등 독특한 상품이 있었죠. 이런 실패 사례를 통해 거래소 선택의 중요성을 배울 수 있어요.
🏆 주요 거래소 특징 비교표
거래소 | 장점 | 특별 기능 |
---|---|---|
Binance | 최대 거래량 | BNB 체인 생태계 |
Coinbase | 규제 준수 | 미국 상장사 |
Kraken | 보안 우수 | 스테이킹 수익 |
KuCoin | 다양한 알트코인 | 거래 봇 |
Gemini는 Winklevoss 쌍둥이가 운영하는 미국 거래소예요. Gemini Dollar(GUSD)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고, Gemini Custody로 기관 자산을 보관해요. Nifty Gateway라는 NFT 플랫폼도 운영하고 있어요. 규제 친화적이라 초보자에게 좋답니다.
Bitfinex는 전문 트레이더들이 선호하는 거래소예요. Margin Funding으로 다른 사람에게 자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을 수 있어요. Paper Trading으로 가상 거래 연습도 가능해요. Honey Framework라는 독특한 거래 엔진을 사용해요.
KuCoin은 People's Exchange라는 슬로건답게 커뮤니티 중심이에요. Trading Bot이 무료로 제공되고, Pool-X로 유동성 마이닝도 할 수 있어요. KCS 토큰 홀더에게 수수료 할인과 보너스를 제공해요. Spotlight로 IEO 참여도 가능해요.
Bybit는 파생상품 거래에 특화되어 있어요. Inverse Perpetual, USDT Perpetual, Inverse Futures 등 다양한 상품이 있어요. Insurance Fund로 시스템 리스크를 관리하고, Mutual Insurance로 사용자 보호도 해요. TestNet에서 연습할 수 있어요.
OKX(구 OKEx)는 아시아에서 인기가 많아요. Jumpstart로 토큰 세일에 참여하고, Mining Pool로 채굴도 할 수 있어요. Options Trading과 Structured Products 같은 복잡한 금융상품도 제공해요. DEX와 Web3 지갑도 통합되어 있답니다. 각 거래소마다 특색이 있으니 자신에게 맞는 곳을 선택하세요! 🌐
❓ 암호화폐 거래소 영어 FAQ
Q1. Market Order와 Limit Order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A1. Market Order는 현재 시장가에 즉시 체결되는 주문이에요. 빠르게 매매할 수 있지만 원하는 가격과 다를 수 있어요. Limit Order는 원하는 가격을 지정해서 그 가격에 도달하면 체결되는 주문이에요.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원하는 가격에 거래할 수 있답니다.
Q2. KYC는 왜 필요하고 어떤 서류가 필요한가요?
A2. KYC(Know Your Customer)는 자금세탁 방지와 테러자금 조달 방지를 위한 법적 의무예요. 신분증(여권, 운전면허증), 거주지 증명(공과금 고지서, 은행 명세서), 셀피 사진이 필요해요. 레벨에 따라 거래 한도가 달라집니다.
Q3. 2FA를 분실했을 때 어떻게 복구하나요?
A3. 백업 코드가 있다면 그걸로 접속 후 2FA를 재설정하세요. 백업 코드도 없다면 고객센터에 신분증과 셀피를 제출해서 본인 확인 후 2FA를 해제할 수 있어요. 보통 24-72시간 정도 걸립니다.
Q4. Spot Trading과 Futures Trading의 차이는?
A4. Spot Trading은 실제 코인을 사고파는 현물 거래예요. Futures Trading은 미래 가격을 예측해서 계약을 거래하는 파생상품이에요. 선물은 레버리지를 사용할 수 있어 수익도 크지만 위험도 커요.
Q5. Maker Fee와 Taker Fee의 차이점은?
A5. Maker는 호가창에 주문을 올려 유동성을 제공하는 사람이고, Taker는 이미 있는 주문을 체결시키는 사람이에요. Maker Fee가 보통 더 저렴하고, 일부 거래소는 Maker에게 리베이트를 주기도 해요.
Q6. Stop-Loss와 Take-Profit은 어떻게 설정하나요?
A6. Stop-Loss는 손실을 제한하기 위해 특정 가격 이하로 떨어지면 자동 매도하는 기능이에요. Take-Profit은 목표 수익에 도달하면 자동 매도해요. Advanced Order 메뉴에서 Stop Price와 Limit Price를 입력하면 됩니다.
Q7. Deposit Address를 잘못 입력하면 어떻게 되나요?
A7. 잘못된 주소로 보낸 암호화폐는 대부분 복구가 불가능해요. 일부 거래소는 수수료를 받고 복구를 시도하지만 성공률이 낮아요. 항상 주소를 복사-붙여넣기하고, 소액으로 테스트 후 송금하세요.
Q8. Network Fee와 Trading Fee의 차이는?
A8. Network Fee(Gas Fee)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지불하는 수수료로 거래소가 아닌 채굴자에게 갑니다. Trading Fee는 거래소가 받는 매매 수수료예요. 출금 시에는 두 가지 모두 발생할 수 있어요.
Q9. Leverage 10x는 무슨 의미인가요?
A9. 10x 레버리지는 내 자금의 10배로 거래할 수 있다는 뜻이에요. 1만원으로 10만원어치 거래가 가능하지만, 손실도 10배가 되므로 10% 하락하면 전액 손실(청산)될 수 있어요. 초보자는 낮은 레버리지부터 시작하세요.
Q10. API Key는 무엇이고 왜 필요한가요?
A10. API Key는 외부 프로그램이나 봇이 거래소 계정에 접속할 수 있게 하는 열쇠예요. 자동 거래 봇, 포트폴리오 관리 앱, 세금 계산 프로그램 등에 사용돼요. 권한을 최소한으로 설정하고 Secret Key는 절대 공개하지 마세요.
Q11. Whitelist Address는 어떻게 설정하나요?
A11. Security Settings에서 Withdrawal Whitelist를 찾아 Enable하세요. Add Address를 클릭해 주소, 라벨, 네트워크를 입력하고 2FA 인증을 완료하면 됩니다. 24시간 후부터 해당 주소로만 출금 가능해요.
Q12. Funding Rate는 무엇인가요?
A12. Funding Rate는 무기한 선물 거래에서 롱 포지션과 숏 포지션 간 균형을 맞추기 위한 수수료예요. 8시간마다 정산되며, 양수면 롱이 숏에게 지불하고 음수면 반대예요. 포지션 유지 비용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Q13. Order Book의 Bid와 Ask는 무엇인가요?
A13. Bid는 매수 호가로 구매하려는 사람들의 주문이고, Ask는 매도 호가로 판매하려는 사람들의 주문이에요. Bid-Ask Spread는 최고 매수가와 최저 매도가의 차이로, 좁을수록 유동성이 좋다는 의미예요.
Q14. Staking과 Savings의 차이점은?
A14. Staking은 PoS 블록체인 검증에 참여해 보상을 받는 거고, Savings는 단순히 거래소에 예치해 이자를 받는 거예요. Staking은 언스테이킹 기간이 있지만 수익률이 높고, Savings는 유연하지만 수익률이 낮아요.
Q15. Liquidation Price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A15. 청산가격 = 진입가격 × (1 - 1/레버리지 + 유지마진율)이에요. 10배 레버리지에 유지마진 0.5%면 약 9% 역행 시 청산됩니다. 거래소마다 계산기를 제공하니 포지션 열기 전에 꼭 확인하세요.
Q16. P2P Trading은 안전한가요?
A16. 거래소가 제공하는 P2P는 에스크로 서비스로 비교적 안전해요. 하지만 상대방 신용도를 확인하고, 거래소 외부에서 직접 송금하지 마세요. Payment Proof를 꼭 확인하고, 의심스러우면 Appeal을 통해 분쟁 해결하세요.
Q17. Gas Fee가 너무 비싼데 줄일 방법이 있나요?
A17. 네트워크가 한가한 시간대(주말 새벽)를 이용하거나, Layer 2 솔루션(Polygon, Arbitrum)을 사용하세요. Gas Tracker 사이트에서 실시간 가스비를 확인하고, Slow 옵션을 선택하면 저렴하지만 처리가 느려요.
Q18. Copy Trading은 수익이 보장되나요?
A18. 절대 보장되지 않아요. 과거 수익률이 미래를 보장하지 않으며, 트레이더도 손실을 볼 수 있어요. 여러 트레이더를 분산 팔로우하고, Risk Score와 Maximum Drawdown을 확인하세요. 소액으로 시작해서 경험을 쌓으세요.
Q19. Hot Wallet과 Cold Wallet의 차이는?
A19. Hot Wallet은 인터넷에 연결된 온라인 지갑으로 거래소 지갑이 대표적이에요. 편리하지만 해킹 위험이 있어요. Cold Wallet은 오프라인 하드웨어 지갑으로 안전하지만 불편해요. 장기 보관은 콜드월렛을 추천합니다.
Q20. Slippage는 무엇이고 어떻게 방지하나요?
A20. Slippage는 주문 가격과 실제 체결 가격의 차이예요. 거래량이 적거나 변동성이 클 때 발생해요. Limit Order를 사용하거나, 유동성이 높은 거래 쌍을 선택하고, 큰 주문은 나눠서 체결하면 슬리피지를 줄일 수 있어요.
Q21. DCA(Dollar Cost Averaging)는 어떻게 설정하나요?
A21. Recurring Buy 메뉴에서 코인, 금액, 주기(일/주/월)를 설정하면 자동으로 정기 매수돼요. 시장 타이밍을 맞출 필요 없이 평균 매입가를 낮출 수 있어 장기 투자에 유리해요. Auto-Invest라고도 불립니다.
Q22. Margin Call과 Maintenance Margin은 무엇인가요?
A22. Maintenance Margin은 포지션 유지에 필요한 최소 마진이에요. Margin Call은 마진이 부족할 때 추가 입금을 요구하는 경고예요. 무시하면 강제 청산되니 Margin Level을 항상 확인하고 70% 이상 유지하세요.
Q23. Trading View 차트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A23. 거래소 차트 상단의 Trading View 버튼을 클릭하거나 별도로 접속하세요. Indicators에서 지표 추가, Drawing Tools로 추세선 그리기, Templates로 설정 저장이 가능해요. Pine Script로 커스텀 지표도 만들 수 있어요.
Q24. Referral Code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A24. 회원가입 시 Referral Code 입력란에 코드를 넣으면 수수료 할인을 받을 수 있어요. 이미 가입했다면 Account Settings에서 추가할 수 있는 거래소도 있어요. 본인 코드로 친구를 초대하면 커미션도 받을 수 있답니다.
Q25. Tax Report는 어떻게 생성하나요?
A25. Reports 메뉴에서 Transaction History를 CSV로 다운로드하세요. 기간을 1월 1일-12월 31일로 설정하고 All Transactions를 선택해요. CoinTracker, Koinly 같은 세금 계산 서비스와 연동하면 자동으로 세금 보고서를 만들어줘요.
Q26. Dust는 무엇이고 어떻게 처리하나요?
A26. Dust는 최소 거래 단위보다 작은 소액 잔액이에요. 거래나 출금이 안 되는 애물단지죠. Convert Dust 기능으로 거래소 코인(BNB, KCS 등)으로 전환하거나, Small Balance Convert로 USDT로 바꿀 수 있어요.
Q27. VIP Level은 어떻게 올리나요?
A27. 30일 거래량과 거래소 토큰 보유량에 따라 VIP 레벨이 결정돼요. 레벨이 높을수록 수수료 할인이 커져요. 거래량을 늘리거나 거래소 토큰을 스테이킹하면 레벨업할 수 있어요. 일부 거래소는 직접 신청도 가능해요.
Q28. Withdrawal Suspended는 왜 발생하나요?
A28.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지갑 유지보수, 보안 이슈, 규제 문제 등으로 출금이 일시 중단될 수 있어요. 보통 공지사항에 안내되며 몇 시간에서 며칠 내 해결돼요. 긴급하면 다른 코인으로 전환 후 출금하는 방법도 있어요.
Q29. Insurance Fund는 무엇인가요?
A29. 선물 거래에서 청산된 포지션의 손실을 메우는 보험 기금이에요. 시장 급변동 시 거래소와 사용자를 보호해요. Auto-Deleveraging(ADL)을 방지하고 시스템 안정성을 높여요. 기금 규모가 클수록 안전한 거래소예요.
Q30. Web3 Wallet과 일반 거래소 지갑의 차이는?
A30. Web3 Wallet은 사용자가 프라이빗 키를 직접 관리하는 탈중앙화 지갑이에요. DeFi, NFT, 디앱 사용이 가능하지만 책임도 본인에게 있어요. 거래소 지갑은 거래소가 관리하는 중앙화 지갑으로 편리하지만 거래소 리스크가 있어요. 용도에 따라 선택하세요!
⚠️ 면책조항
본 가이드는 교육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투자 조언이 아닙니다. 암호화폐 투자는 높은 위험을 수반하며,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습니다. 투자 결정은 본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시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시기 바랍니다. 거래소 이용 약관과 각국의 규제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 비트코인 거래소 영어 마스터의 장점
• 글로벌 거래소 자유로운 이용으로 더 많은 투자 기회 확보
• 수수료 절감과 다양한 코인 거래로 수익률 향상
• 최신 DeFi, NFT 등 블록체인 트렌드에 빠른 참여 가능
• 영어 커뮤니티 정보로 투자 인사이트 획득
• 해외 거래소의 혁신적 기능과 상품 활용
• 24시간 글로벌 시장 접근으로 거래 기회 극대화
• 전문 트레이더로 성장하는 필수 역량 확보
댓글
댓글 쓰기